KT, 'AI 스튜디오 랩' 출범으로 콘텐츠 마케팅 혁신 - 제작 시간 및 비용 90% 절감 효과
KT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 혁신에 나섰습니다. 2025년 3월 27일 KT는 신규 출범한 'AI 스튜디오 랩'을 통해 지니 TV 오리지널 콘텐츠 '신병 3'의 마케팅에 AI 기술을 전면 도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홍보 영상 제작 시간과 비용을 기존 대비 90% 이상 절감하는 놀라운 효율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기술로 완성한 '신병 3' 홍보 콘텐츠

KT의 'AI 스튜디오 랩'은 4월 7일 첫 방송 예정인 지니 TV 오리지널 '신병 3'의 일부 홍보 영상을 100% AI 기술로 제작했습니다. 단순한 편집을 넘어 '신병 1·2'편의 주요 장면을 압축한 몰아보기 영상과 '신병 3'의 하이라이트 숏폼 영상까지 AI로 제작하여 시청자들에게 공개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AI 제작 시스템 도입은 단순히 제작 과정의 자동화를 넘어 기존 방식 대비 약 90% 이상의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고 KT 측은 설명했습니다. 이는 콘텐츠 마케팅 분야에서 AI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다양한 채널로 확장되는 AI 콘텐츠 제작
KT는 이번 성공을 바탕으로 AI 기술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KT ENA와 KT 스튜디오지니의 유튜브 채널 콘텐츠에도 AI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며, KT ENA와 SBS 플러스의 인기 프로그램 '나는 솔로'를 화제의 인물 '옥순'을 중심으로 새롭게 편집하는 프로젝트도 진행합니다.
또한 영화, 애니메이션, 해외 시리즈의 숏폼 콘텐츠를 AI가 자동으로 제작하는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영상 축약을 넘어 콘텐츠의 스토리라인을 고려한 맞춤형 편집이 가능한 기술입니다.
맞춤형 AI 숏폼 제작 기술의 특징
KT의 AI 숏폼 제작 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편집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콘텐츠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 클립형: 핵심 장면을 중심으로 한 간결한 편집
- 인물형: 특정 인물의 시점에서 서사가 전개되는 형태
- 행동형: 춤, 노래 등 특정 행동을 중심으로 장면 편집
- 리뷰형: 콘텐츠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형태
- 예고편형: 시청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하이라이트 중심 편집
특히 KT는 숏폼 제작에 차별화된 AI 기술을 적용했으며, 영상 제작 시 자동으로 적절한 초점 대상을 식별하는 '포커스 뷰' 기술은 KT가 보유한 핵심 특허 기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AI 콘텐츠 마케팅의 미래
KT의 이번 AI 스튜디오 랩 출범과 AI 기반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작 시간과 비용의 대폭 절감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콘텐츠를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됨으로써 콘텐츠 마케팅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 KT는 이러한 AI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적용할 계획이며, 이는 국내 미디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은 AI가 제작한 콘텐츠를 시청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AI 기술이 콘텐츠 제작 분야에 가져올 변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의 의견과 경험을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I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록3(Grok 3)의 암호화폐 자동매매 도전기: 가능성과 한계점 분석 (3) | 2025.04.08 |
---|---|
ChatGPT 이메일 인증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총정리 (1) | 2025.04.01 |
포토샵 2019 (버전 21.0)의 새로운 기능 소개 - 사전설정개선 (0) | 2019.11.13 |
스마트폰 카메라 원형에서 사각형 모듈로? (0) | 2019.06.16 |
구글 폰트의 새로운 도전!! 똑똑해진 한글 폰트 (0) | 2018.04.12 |
댓글